부동산

2025년 LH 국민임대주택 소득 기준 완벽 정리 _(1~4인 가구별 기준 포함)

RICH메이트 2025. 6. 9. 11:32

2025년에도 여전히 전세, 월세 부담은 높고 내 집 마련은 멀게만 느껴집니다.
그래서 많은 분들이 국민임대주택을 고려하고 있는데요.

 

하지만 신청 조건 중 가장 헷갈리는 것이 바로 소득 기준입니다.
‘몇 인 가구는 얼마까지 가능한지’, ‘맞벌이는 어느 선까지 허용되는지’ 등…

 

오늘은 2025년 LH 국민임대주택의 소득 기준쉽고, 표로 정리해서 안내드립니다.     

 

LH 국민임대주택 소득 기준
LH 국민임대주택 소득 기준

 

✅ 2025년 국민임대 소득 기준 요약표

가구원 수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% 기준
1인 약 170만 원 이하
2인 약 250만 원 이하
3인 약 320만 원 이하
4인 약 390만 원 이하

📌 기준은 ‘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’을 바탕으로 산정되며, 매년 변동됩니다.



 

 

💬 자세히 알아보기

이 기준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소득을 기준으로 매년 LH와 국토교통부에서 발표됩니다.

예를 들어, 3인 가구가 신청할 경우 월 소득이 320만 원을 넘지 않아야 하며,
맞벌이의 경우 합산 금액으로 판단합니다.

또한, 이 외에도 자산 기준(예: 총 자산 2.9억 이하, 자동차 가액 3,600만 원 이하 등)도 함께 체크됩니다.
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맞벌이 부부도 70% 기준에 해당하나요?

A. 네, 부부 소득을 합산해서 적용합니다.

Q. 대학생은 부모 소득도 포함되나요?

A. 네, 행복주택/국민임대 일부 유형은 부모 소득도 포함됩니다.

Q. 기준 초과 시 신청 불가인가요?

A. 일정 기준 초과 시 신청 자격이 박탈될 수 있으니, 신청 전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하세요.

 

 

 

 

 


📌 마무리

  • 국민임대주택은 가구원 수별 소득 기준이 핵심입니다.
  • 2025년 기준, 1인 가구는 약 170만 원, 4인 가구는 약 390만 원 이하 소득이 기준입니다.
  • 맞벌이 여부, 자산 보유 여부도 반드시 확인하고 신청하세요.

📥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2025년 LH 국민임대주택 소득 기준 완벽 정리 _(1~4인 가구별 기준 포함)

 

2025년 LH 국민임대주택 소득 기준 완벽 정리 _(1~4인 가구별 기준 포함)

2025년에도 여전히 전세, 월세 부담은 높고 내 집 마련은 멀게만 느껴집니다.그래서 많은 분들이 국민임대주택을 고려하고 있는데요. 하지만 신청 조건 중 가장 헷갈리는 것이 바로 소득 기준입

law.makingmyhappylife.com

2025년 신혼부부 특별공급 조건 정리 (소득, 자격 기준)

 

2025년 신혼부부 특별공급 조건 정리 (소득, 자격 기준)

2025년에도 내 집 마련의 기회를 노리는 신혼부부라면 ‘특별공급’ 제도를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.청약 가점이 낮더라도 당첨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, 자격 조건과 소득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는

law.makingmyhappylife.com

2025년 행복주택 자격 총정리 (청년·신혼·한부모·사회초년생 등 대상별 요약)

 

2025년 행복주택 자격 총정리 (청년·신혼·한부모·사회초년생 등 대상별 요약)

2025년에도 월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행복주택을 고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하지만 조건이 대상별로 조금씩 달라 내가 해당되는지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.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행복주택 자

law.makingmyhappylife.com

2025년6월1일부터 달라지는 임대차계약 신고

 

2025년6월1일부터 달라지는 임대차계약 신고

2025년 6월 1일 이후로 주택임대차 계약(전, 월세)을 하셨다면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.계약체결 후 30일 이내에 시. 군. 구청에 임대차 계약 신고를 해야 합니다.확정일자와는 다른 개념이며

law.makingmyhappylife.com